대한민국 남서부 해안에 자리잡은 매력적인 전라남도 고흥은 자연의 아름다움, 풍부한 문화유산, 군침이 도는 요리가 매혹적인 조화를 이루는 곳입니다. 종종 더 유명한 이웃들에 의해
가려지는 이 숨겨진 보석은 인적이 드문 모험을 찾는 여행자들이 꼭 방문해야 할 곳입니다. 고흥이 제공하는 최고의 명소와 경험을 탐험해보세요.
1. 고흥의 경이로운 자연경관
고흥은 경이로움을 선사할 자연의 경이로움을 자랑합니다.
고흥반도의 지형은 후빙기 이후의 해수면 상승으로 인하여 낮은 지역에 바다속에
잠기면서 반도가 형성되었고, 도립공원인 팔영산(609m)과 운람산(487m)을 비롯하여
높이 400m 이상의 산지를 형성하고 대부분 암산으로 되어 있다.
반도의 중심부인 고흥읍은 서울에서 4시간 30분, 부산에서 2시간 40분이 소요되는 등
접근성이 떨어지는 편이지만, 해상교통이 편리하여 수산업의 중심지이고 김의 양식이
활발하다. 또한, 반도의 서남쪽에 있는 거금도는 연안 일대에 수산업이 성하며, 특히
간석지가 넓게 전개되고 조류가 평온한 편이다. 기후는 온화하여 난대성 기후의 특성이 뚜렷하며, 연평균 기온은 13.9℃이며 연강수량은 1,558mm에 이를 정도이다.
예로부터 김을 비롯하여 굴·바지락 등의 양식지대를 이루고 있다. 그 밖에도 두원면에
풍류 해수욕장, 내나로도의 나로도 해수욕장, 외나로도 일대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등으로 지정되어 있어 관광지로서도 좋은 자연경관을 이루고 있다.
최근에는 고흥군에 속한 나로도에 나로 우주센터가 건설되어 대한민국의 우주항공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는 지역이다. 최근에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제주도의 특산물로
알려진 감귤이 고흥반도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재배지가 여수·진도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후회 하지 않으려면 미술관이라는 말이 어울리는 연홍도를 방문하는 것이다.
예술의 섬, 지붕 없는 미술관으로 불리는 섬 연홍도는 고흥반도에서 거금도를 거쳐 들어 갈 수 있는 작은 섬입니다. 섬 속의 섬이라고도 하며,면적0.55㎢, 해안선 길이 4㎞
입니다. 거금도 서쪽1㎞해상에 있으며,거금도와 금당도 사이에 있습니다.원래는 돌산현
에 속하였으나189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고흥군 금산면에 속하게 되었습니다.
300여 년 전 밀양박씨가 처음 입도하여 마을을 형성하였다고 합니다.
넓은 바다 위에 떠 있는 연과 같다 하여 연홍도라 부르다가 일제강점기에 거금도와 맥이
이어져 있다 하여 연 연 자를 이을 연 자로 바꾸었습니다.섬의 지형이 말의 형상과 같다
하여 마도라 불렀다는 설도 함께 전해집니다.
섬 모양은 ㄱ 자형이며,최고점은81m로 경사가 완만한 구릉성 산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해안은 대부분 사질해안이나 곳곳에 암석해안도 있습니다. 1월 평균기온0℃,
8월 평균기온26℃,연강수량1,389㎜입니다.
우리 연홍도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습니다.주요농산물로는 콩.녹두.
양파.마늘.고추 등의 밭작물이 있습니다. 근해에서는 멸치·노래미·낙지 등이 잡히며,김.
미역.톳등의 양식도 이루어집니다. 서쪽의 모래 해변에는 동백나무·곰솔 등이 무성한
몽돌 해수욕장이 있습니다.
2. 가장 잘 아는 사람들이 추천하는 문화유산과 역사
무열사는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조선시대의 무신 진무성(1566~미정)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고종 19년(1882)에 건립된 사당이다.
진무성은 이순신(1545~1598)이 지휘했던 당포해전(1592), 옥포해전(1592) 등의 여러 전투와 제2차 진주성전투(1593)에 참전하였다. 임진왜란 때의 전공으로 공신에 책봉되었으며, 전쟁이 끝난 후인 선조 32년(1599)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무관직을 역임하였다.
진무성은 본래 창원박씨 가문의 박유원(1388~1450), 박태수(1475~1593), 박홍세( 1550~1598) 세 사람과 함께 순조 26년(1826) 고흥군 대서면 상남리에 세워진 용강사에 배향되었다. 그러나 용강사는 고종 5년(1868) 서원철폐령에 의해 철거되었고, 이후 지역 유림들과 후손들이 힘을 모아 그가 태어난 신송리 동신마을에 무열사를 세웠다.
경내에는 외삼문, 강당인 저존재 유물들이 보관되어 있는 유물각, 내삼문, 사당이 있고, 진무성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건물들은 1941년과 1971년에 고쳐 지었으며, 매년 봄에 진무성을 기리는 제사를 지낸다.
사당 안에는 숙종 12년(1686) 왕이 하사한 진무성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이밖에도 무열사에는 임진왜란 때 진무성이 직접 사용했다고 전하는 칠성검, 일산 등의 유물과 총 79장의 고문서가 소장되어 있다. 고문서 중에는 진무성이 무과에 급제하여 받은 교지와 무열사의 창건 동기나 건립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지역 유생들의 상서 및 이에 대한 관의 입안 등이 포함되어 있다.
3. 자연 속의 고요한 오아시스 나로도 편백나무 숲
나로도 편백나무 숲에 들어서면 주변을 감싸는 평온한 느낌이 여러분을 맞이합니다. 숲은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장엄한 편백나무 숲이 고요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숲 바닥은 양치류와 이끼를 비롯한 무성한 초목으로 덮여 있어 마치 동화 속에 있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당신이 열렬한 등산객이든, 조류 관찰자이든, 아니면 단순히 평화로운 휴식을 원하는 사람이든 이 숲은 뭔가를 제공할 것입니다.
다양한 동식물군이 분포 되어 있는 나로도 편백나무 숲은 눈만 아픈 것이 아닙니다. 또한 생물 다양성의 안식처이기도 합니다. 최대 20m까지 자랄 수 있는 토착 나로도 사이프러스 나무가 쇼의 스타입니다. 이 고대 나무 중 일부는 몇 세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다양한 식물과 동물 종에게 은신처를 제공합니다. 숲을 탐험하면서 이 독특한 생태계에서 번성하는 희귀한 난초, 양치류, 버섯을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조류 관찰자들은 다채로운 한국 요정 피타와 흰개똥지빠귀를 포함하여 다양한 조류 종을 발견하게 되어 기뻐할 것입니다. 운이 좋다면 이 숲에 사는 작은 염소 같은 포유동물인 한국 산양을 만날 수도 있습니다.
문화적, 역사적으로도 나로도 편백나무 숲은 자연의 경이로움일 뿐만 아니라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 곳이기도 합니다. 이 숲은 조선시대 사찰 건축에 필요한 목재를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고 전해진다. 인근에는 여러 고대 사원이 위치해 있어 이 지역의 문화적 풍요로움을 더해줍니다. 특히 장흥사는 고요한 분위기와 아름다운 건축물로 꼭 가볼만한 곳이다.
결론
전라남도 고흥은 자연의 아름다움과 역사가 숨겨져 있는 숨겨진 보물창고 입니다. 모험을 즐기는 사람이든, 역사를 좋아하는 사람이든 이 매력적인 카운티에는 특별한 것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많은 관광객을 피해 전통과 숨막히는 풍경을 만나는 고흥으로 기억에 남는 여행을 떠나보세요. 과소 평가된 보석으로의 여행을 계획하고 고흥의 비밀을 직접 만나보세요.